본문 바로가기
채색의 기술

🎨그림에서 색을 다루는 방법: 색의 원리부터 실전 활용까지

by 달콤이dalcom 2025. 6. 26.

그림에서 색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작품의 인상은 완전히 달라집니다

좋은 그림을 완성하는 데 있어 색의 선택과 조화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. 많은 사람들이 ‘색을 잘 쓰는 그림’에 감탄하지만, 그 색의 조화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자세히 아는 경우는 드뭅니다. 사실 색에는 내재된 질서가 있으며, 그 질서를 이해하는 사람만이 색의 관계를 감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질서는 경험만으로 터득하기 어려우며, 색채 이론에 대한 학습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 색의 3요소, 색상환, 명도·채도의 조절법 등을 통해 우리는 색과 색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, 조화로운 색감을 그림 속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색의 기본 구조부터 그림에 바로 활용 가능한 실전 포인트까지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

색의 3요소: 색상, 명도, 채도를 이해해야 색을 제대로 쓸 수 있습니다

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색은 단순히 ‘빨강’, ‘파랑’, ‘노랑’ 같은 이름으로만 구분되지 않습니다. 색상, 명도, 채도, 이 세 가지 요소가 색의 성질을 결정짓는 핵심입니다.

  • 색상(Hue): 색의 종류를 나타냅니다. 예: 빨강, 파랑, 노랑 등
  • 명도(Value):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입니다. 높을수록 밝고, 낮을수록 어둡습니다.
  • 채도(Chroma): 색의 맑고 탁한 정도를 뜻합니다. 채도가 높을수록 생생하고, 낮을수록 흐립니다.

많은 초보자들이 색상만을 고려하여 색을 선택하지만, 실제로는 명도와 채도가 그림의 분위기와 통일감에 훨씬 큰 영향을 미칩니다.

👉 : 색의 3요소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은 물감 혼합에서 매우 어렵기 때문에, 실제로는 ‘색조(Tone)’라는 종합 개념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

색상환: 색의 관계를 한눈에 파악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

색상환은 색상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원형 구조입니다. 무지개를 원형으로 이어 붙인 것처럼 보이며, 색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

색상환을 통해 알 수 있는 3가지 핵심

  1. 친밀도
    • 색상환에서 가까이 있는 색상일수록 성질이 비슷합니다.
    • 예: 빨강은 주황, 자주색과는 잘 어울리지만 초록, 파랑과는 대조적인 관계입니다.
  2. 보색 관계
    • 색상환에서 정확히 반대편에 위치한 색상끼리는 서로 보색 관계입니다.
    • 예: 빨강-초록, 노랑-보라, 파랑-주황
    • 보색은 함께 쓰면 강한 대조를 일으키며 시선을 끄는 효과가 있습니다.
  3. 혼색 결과 예측
    • 색상환에서 가까운 두 색을 섞으면 그 중간색이 나옵니다.
    • 반면, 거리가 먼 두 색을 섞으면 채도가 낮고 탁한 색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.

👉 주의: 실제 물감 혼색에서는 안료의 특성 때문에 이론과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색상환은 전체적인 색 조합을 설계할 때 매우 유용한 기준이 됩니다.


색의 조화는 ‘명도’와 ‘채도’의 조절에서 시작됩니다

색상만 다르게 구성된 그림보다, 명도와 채도가 적절히 조절된 그림이 훨씬 조화롭고 안정감 있는 인상을 줍니다.

  • 같은 색상이라도 명도를 다르게 조절하면 시각적 거리감이나 시선 유도에 효과적입니다.
  • 채도는 색의 감정적 분위기를 좌우하며, 전체적인 조화감과 집중도에 영향을 미칩니다.

많은 사람들이 색 조합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‘명도’나 ‘채도’를 고려하지 않고 색상만을 바탕으로 조합하기 때문입니다. 색의 느낌을 잘 살리고 싶다면, 명도·채도의 조절 연습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.


변화보다 통일이 우선입니다: 조화로운 색감을 만드는 기본 원칙

색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것은 좋지만, 변화만을 강조하다 보면 그림이 산만하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
반면, 색의 통일감을 유지하면서 일부 요소에만 변화를 주면 훨씬 세련되고 안정적인 그림이 됩니다.

  • 통일감을 우선 확보한 후, 필요한 만큼만 변화 요소를 추가하는 방식이 바람직합니다.
  • 색상뿐만 아니라 명도, 채도, 면적 등의 속성에서도 통일과 변화를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합니다.

👉 예시: 전체적으로 무채색 톤의 그림에서, 한 부분만 강한 색을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시선이 그쪽으로 향하게 됩니다.


색의 동조와 완충: 색상 간의 충돌을 해결하는 실전 팁

색이 잘 어우러지지 않고 서로 대립되는 느낌을 줄 경우, 색의 동조나 완충 개념을 활용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색의 동조란?

  • 두 색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느낌이 비슷해지는 현상입니다.
  • 특히 인접 색상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며, 관찰을 통해 의식적으로 포착할 수 있습니다.

색의 완충 방법

  • 강한 색끼리 충돌할 경우, 그 사이에 중간색을 삽입하여 완충 역할을 하게 합니다.
  • 가장 많이 사용되는 완충색은 회색 또는 중간 명도·채도의 색입니다.
  • 하지만 회색은 너무 자주 사용하면 그림의 활력을 떨어뜨릴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

👉 실전 팁: 색의 경계선에서 명도나 채도를 낮춰 자연스러운 연결부를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.


색을 잘 쓰는 사람은 ‘이론’과 ‘감각’을 함께 이해합니다.

색을 잘 쓰는 능력은 단순히 ‘감각’만으로 만들어지지 않습니다. 색의 3요소, 색상환, 색조화 전략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, 이를 반복적으로 적용해 보는 경험이 쌓여야 진짜 색 감각이 생겨납니다.

  • 색상만 보지 마세요. 명도와 채도까지 함께 고려하세요.
  • 색상환을 활용해 색들 간의 관계와 거리감을 파악하세요.
  • 그림에서 색의 변화보다 통일을 먼저 생각하세요.
  • 동조와 완충을 통해 색의 긴장을 조절하세요.

이러한 훈련을 지속해 나간다면, 언젠가는 자연스럽고 세련된 색감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게 되실 것입니다.